언젠가 증강현실(AR) 개발
[유니티_AR파운데이션(AR Foundation)] 증강현실로 구현한 가상의 가로등을 현실의 빛 세기 추정으로 On/Off하기
AR Foundation에 있는 기능인 Light Estimation(빛 추정) 기능을 활용하여, 지면인식된 곳에 가상의 공원을 생성시킨후, 방 안의 불을 껏다켰다함으로써, 가상의 공원 가로등 불빛을 On/Off하는 콘텐츠를 만들어보았습니다. https://youtu.be/Ki6eYWZKb24
[유니티_AR파운데이션(AR Foundation)] Light Estimation을 활용한 빛 세기 추정
안녕하세요. AR Foundation의 빛 관련 기능인 Light Estimation의 빛 세기 추정 기능에 대해 영상을 공유드립니다. 주변의 빛의 세기에 따라 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.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RVXrQ_dU1Mk&list=PLdg1Xdv9tSmAjkgqEkO2qoaNKXIJMX-ie&index=7
[유니티_AR파운데이션(AR Foundation)] 얼굴인식 기능(Face Tracking)
안녕하세요. 이번에는 AR Foundation의 Face Tracking 영상을 찍어보았습니다. 기본으로 제공되는 Default Face Material과 직접 그림을 그린 Custum Face Material를 가지고 유튜브 런닝맨 편집본을 비추면서 테스트해보았습니다~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4Strc7Z0URk&list=PLdg1Xdv9tSmAjkgqEkO2qoaNKXIJMX-ie&index=5
![[유니티_XR 인터렉션 툴킷/XR Interaction ToolKit] 선택, 이동, 회전, 크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lULMM%2FbtrdUnBHm0Y%2FVkJerWTPBsJAhKwK3vMkgk%2Fimg.png)
[유니티_XR 인터렉션 툴킷/XR Interaction ToolKit] 선택, 이동, 회전, 크기
이번에는 여러 컴포넌트를 추가하여 간단하게 기능을 넣어보겠습니다. 이렇게 설정하시면 지면인식 -> 지면을 터치하여 오브젝트 생성 -> 생성한 오브젝트를 터치하면 '선택' -> 선택된 오브젝트를 드래그하면 '이동' -> 선택된 오브젝트를 집게 손가락으로 키우거나 줄이면 '스케일' -> 선택된 오브젝트를 집게 손가락으로 돌리면 '회전' 기능이 작동합니다!!
![[유니티_XR 인터렉션 툴킷/XR Interaction ToolKit] 오브젝트 생성 및 배치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eFrIWh%2FbtrdV6sJMG5%2Fz8lg6vnCC32TULLZirS6Lk%2Fimg.png)
[유니티_XR 인터렉션 툴킷/XR Interaction ToolKit] 오브젝트 생성 및 배치
패키지를 설치하셨으면, 이제 기본 기능인 터치시 오브젝트 생성하여 터치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해보겠습니다. 이렇게 하시면 휴대폰으로 지면인식한 위치를 터치했을 때 그 위치에 큐브 프리팹이 생성됩니다.
![[유니티_XR 인터렉션 툴킷/XR Interaction ToolKit] 설치 방법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oGf7f%2FbtrdUDYRAhh%2FKC9BmRCBf6GZUEc8N5bKJ1%2Fimg.png)
[유니티_XR 인터렉션 툴킷/XR Interaction ToolKit] 설치 방법
안녕하세요~ 유니티에서는 보다 간편하게 AR 또는 VR을 구현하도록 XR Interaction ToolKit이라는 패키지가 존재합니다. 예전 포스팅을 보면 AR Foundation의 기능을 활용하여 오브젝트를 생성 및 배치하고 했는데, 이런 기능을 보다 간편하게 구현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패키지입니다. (현재 프리뷰 기능이니 백업도 해두시고, 사용하실 떄 인지해주세요!!) 먼저 설치 방법을 공유드리겠습니다.
![[유니티_뷰포리아(Vuforia)] 뷰포리아 설정 및 셋팅_2021 업데이트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3VFnO%2Fbtrcebh94ss%2F6WjowCCf6PAHYy5cJk847K%2Fimg.png)
[유니티_뷰포리아(Vuforia)] 뷰포리아 설정 및 셋팅_2021 업데이트
최근 아래의 내용을 유튜브 영상으로 올렸습니다. 영상이 편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활용해주세요!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-R_plTNLmoQ
![[유니티_AR파운데이션(AR Foundation)] AR Raycast로 관련 정보를 가져오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3hwUT%2FbtrbCsRX45R%2FvmE7u6eRXor34NQmwfWvWK%2Fimg.png)
[유니티_AR파운데이션(AR Foundation)] AR Raycast로 관련 정보를 가져오기
안녕하세요~ AR Foundation에서 지면인식, 벽면인식, 포인트 클라우드~ 얼굴인식 등 여러 종류의 정보를 트래킹하여 가져와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오늘은 그것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. 아직 기능 확인하는 단계라서 정리를 제대로 못했네요😂😂 이렇게 코드를 영어처럼 번역해서 생각하시면 편하답니다~ ㅁ 노션 주소 https://13-32.notion.site/AR-Raycast-7bff850aa82544148e06849e775249eb
![[유니티_AR파운데이션(AR Foundation)] Asset ARFoundation Remote 설치 순서 및 사용 방법!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tZrb1%2FbtrbCtDhPzC%2FYl212LSlCTs5MlnrBEvoQ1%2Fimg.png)
[유니티_AR파운데이션(AR Foundation)] Asset ARFoundation Remote 설치 순서 및 사용 방법!
해당 에셋은 제가 에셋을 만들거나 홍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작업 효율을 위해 한번 공유드리는 것이니 편하게 보셔도 됩니다! AR 개발 작업을 할 때 힘든 점은 뭘까요? AR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 가장 큰 문제가 해당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써야한다는 것인데요. 모바일 기반 AR을 사용할 때는 모바일에 빌드를 해서 확인해야 합니다ㅠㅠㅠ 물론 뷰포리아는 캠을 연결해서 에디터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편리하지만 상업적으로 사용할 경우 뷰포리아의 마커 인식당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AR Foundation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그런데 AR Foundation은 캠을 지원하지 않습니다!!😭😭😭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정말 수도 없이 빌드를 해서 테스트를 진행해야 하는데(특히나 IOS의 경우는 XCod..
![[유니티_AR파운데이션(AR Foundation)] Depth API / Occlusion AR Plane Shader 방법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GZVRx%2FbtqFViATJQ5%2FcqS36qTJp26i3Z74nlD4mk%2Fimg.png)
[유니티_AR파운데이션(AR Foundation)] Depth API / Occlusion AR Plane Shader 방법
저번에 포스팅한 'Depth API / Occlusion'을 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. 뎁스 처리 분류는 Disable / Fastest / Midium / Best로 총 4개로 구성되있는데, 위의 분류는 Best입니다. 그런데 Best치고는 조금 계단현상이 보이죠? ㅠㅠ 물론 탁자와 같은 각이진 공간을 한 것이 아니라 더 심한 걸 수도 있지만 그래도 계단현상이 보기 좀 불편하신다면, 다른 방법도 있습니다. 저번에 버튼을 눌러 PlaneMaterial 바꾸었던 것 기억하시나요? 그때처럼 PlaneMaterial을 Depth Material로 변경하면 됩니다. 바로 진행해보겠습니다. Project 씬에서 Material을 하나 생성합니다. 그리고 Shader를 변경해주면 됩니다! 이제 생성한 M..